나이가 들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뇌 부위 중 하나가 해마로, 대뇌피질에 둘러싸인 변연계에 위치한다.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신경세포 연결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줄어들며, 이로 인해 기억력이 떨어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능력도 약해진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캠퍼스(UCSF)연구진이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단백질을 밝혀내고 국제학술지 ⟪Nature Aging⟫ 8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해마에서 나이에 따른 유전자와 단백질 변화를 추적한 결과, 단 하나의 단백질이 노화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을 발견했다. 바로 FTL1이라는 단백질이다. 노령 쥐에서는 이 단백질이 과도하게 많았고, 신경세포 간 연결은 줄어들었으며 인지 기능도 크게 저하돼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젊은 쥐에게 FTL1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켰을 때다. 이들의 뇌 구조와 행동은 노령 쥐처럼 변했고, 신경세포 역시 정상적인 가지 형태를 만들지 못하고 단순한 형태로만 발달했다. 반대로 노령 쥐의 해마에서 FTL1을 줄이자 신경 연결이 다시 촘촘해졌고 기억력도 회복됐다.
연구를 주도한 UCSF 바카 노화연구소의 부소장 사울 비예다 박사는 "단순히 노화 증상을 늦추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손상을 되돌린 것"이라며 "이는 진정한 의미의 회복"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FTL1은 노령 쥐의 해마 세포 대사도 느리게 만들었다. 대사를 촉진하는 물질을 투여하자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FTL1 억제 또는 대사 활성 조절이 뇌 노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비예다 박사는 "노화의 가장 큰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며 "노화 생물학 연구에 있어 매우 희망적인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