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이 찌는 사람 중에 스트레스를 이유로 꼽는 이들이 많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 음식이나 매운 음식이 자꾸 먹고 싶어진다는 것이다.
미국 식품·영양 매체 '이팅웰(EatingWell)'에 따르면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감이 식단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신진대사 및 지방 저장과 관련된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스트레스가 몸무게 증가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체중 감량이 목표라면 일상 속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스트레스가 식단과 식사량에 영향 미쳐
일시적 스트레스는 문제가 해결되면 사라지기 때문에 실제로 체중 증가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만성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만성 스트레스는 우울증, 소화기 문제, 인지 장애, 통증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만성적 스트레스는 먹는 방법이나 음식, 식욕과 공복감 등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를 높인다. 코르티솔 수치가 높아지면 자꾸만 허기가 지고 근육이 손실될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도 증가한다. 우리 몸이 지방을 저장하는 장소에도 영향을 줘 뱃살이 불어나게 만든다.
실제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사탕이나 과자, 아이스크림, 떡볶이, 케이크 등 짜고 달고 느끼한 고칼로리 음식을 찾게 된다. 먹고 스트레스 받고 그래서 다시 먹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면서 결국 눈에 띄게 불어난 체중과 마주하게 된다.
숙면과 식단, 운동으로 관리해야
스트레스가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체중 조절을 위해서는 일상 속 스트레스 관리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숙면이다.
전문가들은 "우리의 몸은 배고픔과 갈증, 피로에 대한 신호를 종종 혼동해 잠이 부족할 때도 낮잠을 자거나 쉬는 게 아니라 음식을 먹어 해결하려는 경우가 있다"며 "이는 역으로 푹 잘 자면 자꾸 뭔가 먹고 싶어지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한다.
식단 관리도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식물성 단백질과 식이 섬유가 풍부한 과일, 채소, 콩류, 통곡물 등을 챙겨 먹으면 식욕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체중 증가를 예방할 뿐 아니라 혈당 균형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몸을 움직이는 것 역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 중 하나다. 운동을 하면 엔도르핀이 분비돼 코르티솔 수치를 낮추고 과식 욕구도 줄일 수 있다. 일기를 쓰거나 친구와의 대화, 명상 등으로 마음 건강을 챙기는 것도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